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미디어+
애니멀
플래닛+
오피니언
1Alliance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미디어+
애니멀
플래닛+
오피니언
1Alliance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미디어+
애니멀
플래닛+
오피니언
1Alliance
플래닛타임즈 소개
윤리강령
찾아오시는 길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과학
과학
다음
이전
과학
버려지기엔 너무나 아까운 잡초
잡초는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는 골칫거리로 여겨져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재배 시 제초작업을 통해 제거되는 풀이다. 잡초를 그대로 두면 사람이 일용할 양식으로 기르는 농작물에게 가야할 영양성분이 잡초가 흡수를 해 농작물이 잘 자라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잡초는 해로운 식물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잡초라고 해
김혜빈
2023.08.24 16:48
과학
미생물 이용한 친환경 자외선 차단제 등장할까
국립생물자원관과 서명지 인천대 교수 연구진이 자외선의 악영향을 막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색소를 만들어 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선크림은 여름철에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이지만, 그중 옥시벤존 등의 화학물질이 들어간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해양오염을 일으키고 특히 해양생물의 주 서식처인 산호초의 백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승요
2023.07.19 16:27
과학
바닷가 필수템 선크림, 산호초를 죽인다
우리가 매일 바르는 유기자외선차단제 성분들이 해양오염을 일으키며 산호 및 해양 동물들을 해치고 있다. 비영리 과학단체 해레티쿠스환경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자외선차단제는 1만 4,000톤에 육박한다고 한다. 선크림은 해수욕을 통한 유입 외에도 다양한 경로로 바다에 흘러 들어간다. ▲옥시벤존 ▲옥티노
김승요
2023.07.13 17:23
과학
대기오염으로 히말라야 빙하 녹는 속도 빨라져
· '제3의 극' 히말라야 빙하의 융해· 빙하 융해의 기후 변화 외 또 다른 요인은 바로 대기 오염 · 21세기 안에 히말라야 빙하는 현 부피의 최대 80%를 잃을 것, 대기 오염을 줄여야 [ⓒReporterre] 거대한 얼음 매장량으로 '제3의 극'이라는 별명이 붙은 티베트고원의 빙하가 기후 변화로 인해 점점 더 빠
김승요
2023.06.29 12:46
과학
해양조사의 날, 자원의 보고 바다
˙미지의 탐험영역 심해, 저 밑의 바다 아래엔 무엇이 존재할까˙해양생물자원부터 해양광물자원, 자원의 보고인 바다 ˙자원탐사 등 여러 목적의 바다, 그리고 심해 #타이타닉호 잔해 탐사를 위해 떠난 심해여정, 그 결과는 미 국방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타이타닉호의 바닷속 잔해를 탐사하는 관광용 잠수정 '타이탄' 호는 202
김혜빈
2023.06.27 12:54
과학
연세대, 환경부 신기후체제 대응 연구 과제 수주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태동 교수(연구책임자)는 서울시립대와 함께 환경부의 '리빙랩 기반 지역 기후 변화 적응 경로와 공간 계획 및 주체별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 과제를 수주해 2023년 4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6년간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정치외교학 분야가 주도하는 사회과학 분야와
김승요
2023.06.16 10:31
과학
연세대 강호정 교수팀, 산림 메탄 흡수의 새로운 조절인자 규명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강호정 교수 연구팀(이재현 연구교수, 윤정은, 양예랑 박사과정생)은 토양의 유기물이 산림의 메탄(CH4) 흡수의 조절인자임을 최초 규명했다.본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7.694)'에 지난달 30일 온라인 출간됐다. 메탄은
김승요
2023.06.14 10:58
과학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기후변화영향 감소에 미치는 것일까?
· 탄소 포집 및 저장은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생성된 CO2를 대기로 방출되기 전에 포집하는 것· CO2가 배출되는 경로와 어디에서 포집하냐에 따라 여러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 탄소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은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
박수영
2023.05.21 11:00
과학
바다식목일의 날, 산호초는 무사할까
˙ 바다식목일의 날, 바다의 나무의 산호초는˙ 산업혁명 이후 나타난 산호초 백화현상, 원인은 ˙ 산호초의 중요성과 현세대가 하는 노력에 대하여 # 바다식목일의 날, 바다의 나무인 산호초에 대하여 숲은 나무로 이루어진다. 숲이 만들어지고,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배출하고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
김혜빈
2023.05.10 06:00
과학
기후테크와 청정기술은 무엇이 다른가?
· 청정기술은 깨끗한 물을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기술을 다룸· 반면에, 기후 기술은 주로 온실가스 배출에 중점을 둔다. 기후테크(Climate Tech)는 기후변화와 그 환경 영향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솔루션을 일컫는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거나 시스템을 환경변화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기후 기술의
박수영
2023.05.09 09:22
과학
로마스 인더스트리즈, 탄소 배출 없는 친환경 특수선박 개발
· 액화수소 특수선박 및 100% 재활용 가능한 HDPE 활용 고속단정 개발 · 국내외 군·경·관에 300척 이상 특수선박 납품 경험과 인력 보유 로마스 인더스트리즈는 탄소 배출 없는 액화수소 특수선박을 개발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직접 설계·제작한 특수선박 300척 이상을 국내외 군·경·관에 납품한 경험과 인력이 있
박수영
2023.04.20 10:14
과학
21.1°C로 신기록 경신한 해수면 온도
[ⓒReporterre] 프랑스 Reporterre에 따르면 해수면 온도가 21.1°C로 신기록을 경신했다고 한다.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자료에 따르면, 4월 초에 평균 해수면 온도는 21.1°C에 도달했다. 1981년, 이 미국 기관의 위성 기록이 시작된 이래 신기록이다. 직전 기록(21°C)은 2016년
김승요
2023.04.13 15:04
과학
기후테크 전문위원회 구성 : 기후테크(탄소 포집·AI·데이터) 해외 기업들의 사례
최연이
2023.04.13 09:42
과학
지구의 인구는 어떻게 될까?
· 예상했던 인구폭탄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재앙적인 인구폭발은 아니지만, 현 수준의 인구수 또한 환경에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인류가 우려했던 “인구 폭탄”이 터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로마클럽(Club of Rome)이 의뢰한 이 연구는 현재 추세로 볼때 세
박수영
2023.04.09 08:00
과학
창백한 푸른 별, 지구 이야기
.창백한 푸른 별, 지구의 탄생은 언제부터였을까 .태초의 점에서 폭팔했다는 빅뱅이론가설 .광할한 우주 속 한 은하계에서 유일하게 생명체가 서식하는 지구의 의미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이하여 풀어보는 지구의 역사 이야기 태어난 생명체의 끝은 죽음이다. 현대사회, 사람의 평균수명은 점점 연장되고 있으나, 약 5억년
김혜빈
2023.04.07 08:00
과학
친환경 인쇄업, 어떤게 있을까
.필환경시대의 도래, 인쇄업도 녹색경영에 박차를 가해 .친환경인쇄업 핵심 키워드: 환경에 무해한, 최소한의 자원을 소모하는, 탄소중립지향 .인쇄업의 친환경으로의 산업 체질전환#필(必)환경 시대의 도래, 거부할 수 없는 선택지는 없어 코로나19는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다 왔다. 바이러스 감염을 우
김혜빈
2023.04.05 08:00
과학
이지젯(EasyJet) 탄소배출저감을 위해 수소항공기에 배팅을 걸다.
· 이지젯(EasyJet)은 넷제로 달성을 위해 수소항공기에 투자하고 있다.· 연료로써의 수소는 무궁무진한 잠재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기술적 장벽을 극복해야하는 어려움 또한 있다. 저가 항공사인 이지젯(EasyJet)은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기위해 수소항공기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 신기술이 향후 수십년동안 비행이
박수영
2023.03.31 09:09
과학
SRM(태양 복사 조정)이란 무엇인가?
‧ SRM(Solar Radiation Modification)은 태양광선을 우주로 반사시켜 온실효과를 낮춘다는 개념‧ SRM의 방식으로 SAI, MCB, CCT가 있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시도가 하나둘 일상에 녹아들고 있다. 커피 프랜차이즈에서 텀블러 사용을 권장하고, 배달서비스 어플에서도 일부 매장에 한해 다회용
이종미
2023.03.20 08:00
1
|
2
|
3
|
4
내용
내용